본문 바로가기
코딩테스트/구현

[Lv.2] 이진 변환 반복하기

by ChaeChae's Blog 2021. 8. 27.

문제 설명

 

0과 1로 이루어진 어떤 문자열 x에 대한 이진 변환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1. x의 모든 0을 제거합니다.
2. x의 길이를 c라고 하면, x를 "c를 2진법으로 표현한 문자열"로 바꿉니다.

예를 들어, x = "0111010"이라면, x에 이진 변환을 가하면 x = "0111010" -> "1111" -> "100" 이 됩니다.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가 "1"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s에 이진 변환을 가했을 때,

이진 변환의 횟수와 변환 과정에서 제거된 모든 0의 개수를 각각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s의 길이는 1 이상 150,000 이하입니다.
  • s에는 '1'이 최소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습니다.

입출력 예

s result
"110010101001" [3,8]
"01110" [3,3]
"1111111" [4,1]

 


문제 풀이

 

문제에 주어진 조건대로 구현하면 바로 원하는 답을 알 수 있었다.

다만, s의 길이인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는 것과 0의 개수를 찾고 제거하는 것을 할 수 있어야 수월하게 풀 수 있다.

 

1. s의 '0'의 개수 구하기
2. '0' 제거
3. 2의 결과로 얻은 s의 길이를 2진수로 변환
4. s가 '1'이 될 때까지 1~3 반복
def solution(s):
    convrt = 0
    zeroCount = 0
    while s != '1': #4
        convrt +=1
        zeroCount += s.count('0') #1
        s = removeZero(s) #2
        s = convert(len(s)) #3

    return [convrt, zeroCount]

 

#'0'제거 함수
import re

def removeZero(s):
    return ''.join(re.findall('[^0]',s)) # 0이 아닌 모든 문자를 반환

 

# 2진수 변환 함수
def convert(length):
    return bin(length)[2:] # 10진수 -> 2진수 ex) '0b11' => '11'로 추출

결과 및 후기

 

슬라이싱, 정규식, count함수만 알고 있으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였다.

다른 풀이를 보니 제거한 모든 '0'의 개수s의 길이 - '1'의 개수로 구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이러면 '1'의 길이를 따로 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더 효율적인 것 같다.

def solution(s):
    convrt, rmvZero = 0, 0
    while s != '1':
        convrt += 1
        num = s.count('1') # '1'의 개수
        rmvZero += len(s) - num # 제거한 '0'의 개수 = s의 길이 - '1'의 개수
        s = bin(num)[2:] # '1'의 개수 == '0'을 제거한 s의 길이
    return [a, convrt]

(좌) 내 결과 (우) 다른 사람 풀이 결과

 

 

'코딩테스트 >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전탐색] 마인크래프트(18111)  (0) 2025.02.12
[구현] 로봇 청소기 (14503)  (0) 2021.11.16
[구현] 빗물 (14719)  (0) 2021.11.10
[시뮬레이션] 야근(14402)  (0) 2021.09.19